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폭우 뒤에 가장 우려되는 자연재해 중 하나는 바로 산사태와 낙석입니다. 비가 멈췄다고 해서 위험이 사라지는 것이 아니며, 오히려 약해진 지반으로 인해 더욱 위험할 수 있습니다. 산사태나 낙석은 갑작스럽게 발생하여 큰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징조를 미리 파악하고 대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산사태 및 낙석의 발생 원인

     

     

    산사태와 낙석은 주로 다음과 같은 요인으로 발생합니다:

    • 집중호우: 가장 큰 원인입니다. 많은 양의 비가 내리면 땅속으로 스며들어 흙과 암석 사이의 결합력을 약화시키고, 땅의 무게를 증가시켜 무너져 내리게 합니다.
    • 지형적 요인: 경사가 급한 산비탈, 절개지 등은 중력의 영향을 크게 받아 산사태와 낙석 발생 위험이 높습니다.
    • 지질적 요인: 풍화 작용으로 약해진 암석, 균열이 많은 지층 등은 물이 쉽게 침투하여 지반을 불안정하게 만듭니다.
    • 인위적인 요인: 무분별한 개발, 절개 공사, 배수로 불량 등은 산림의 안정성을 해쳐 산사태 발생 가능성을 높입니다.

     

     

     

     

    산사태의 징조 (전조 현상)

     

    산사태는 보통 갑자기 발생하지만, 그 전에 분명한 징조를 보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징조들을 잘 알아두고 집중호우 기간이나 폭우 뒤에는 특히 주변을 주의 깊게 살펴보는 것이 생명을 지키는 데 중요합니다.

    1. 땅울림 및 산울림: 비가 오지 않거나 바람이 불지 않는데도 "우르르", "쿵" 하는 소리가 들리거나 땅이 울리는 느낌이 든다면 산사태가 시작되고 있다는 위험 신호일 수 있습니다.
    2. 새로운 흙탕물/흙탕물의 양 증가: 평소 맑았던 계곡이나 산비탈에서 갑자기 흙탕물이 솟아 나오거나, 흐르는 흙탕물의 양이 급격히 늘어난다면 지하수가 토사를 함께 쓸어내리고 있다는 징조입니다.
    3. 샘물이나 지하수의 변화: 평소 잘 나오던 샘물이나 지하수가 갑자기 멈추거나 반대로 평소보다 많은 양의 물이 샘솟는다면 지하수 흐름에 변화가 생겼다는 뜻으로, 산사태의 전조일 수 있습니다.
    4. 산비탈의 균열 및 부풀어 오름: 산허리에 금이 가 있는 것처럼 보이거나, 지반이 부풀어 오르는 현상이 관찰된다면 토사가 이동하고 있다는 강력한 신호입니다.
    5. 나무의 변화: 똑바로 서 있던 나무들이 기울어지거나 넘어지고, 바람이 불지 않는데도 나무가 평소보다 크게 흔들리는 모습이 보인다면 지반이 불안정해지고 있다는 징후입니다. 나무뿌리가 끊어지는 듯한 '바스락' 소리도 위험 신호입니다.
    6. 작은 돌들의 낙하: 산비탈에서 작은 돌들이 후두둑 소리를 내며 계속해서 굴러떨어진다면 더 큰 토사나 암석이 무너질 위험이 있다는 경고입니다.
    7. 계곡물의 탁해짐 및 나무 유입: 계곡물이 갑자기 탁해지거나, 상류에서 떠내려온 흙, 나뭇가지, 돌 등이 보인다면 상류에서 산사태나 토석류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8. 계곡물의 감소: 비가 계속 내리는데도 계곡물이 갑자기 줄어든다면, 상류에서 무너진 토사가 물의 흐름을 막고 있을 수 있습니다. 이는 곧 토사가 한꺼번에 터져 내려올 위험이 있다는 매우 위험한 징조입니다.

     

     

     

     

    낙석의 징조 (전조 현상)

    낙석은 산사태보다 규모는 작을 수 있지만, 예측하기 어렵고 직접적인 피해로 이어질 수 있어 위험합니다.

    1. 작은 돌멩이의 지속적인 낙하: 산사태 징조와 유사하게, 절개지나 암벽에서 평소보다 많은 작은 돌멩이가 계속해서 떨어지는 것이 관찰된다면 더 큰 낙석의 전조일 수 있습니다.
    2. 암벽의 균열: 암벽이나 절개면에 새로운 균열이 생기거나 기존 균열이 더 넓어지는 것이 보인다면 불안정해지고 있다는 신호입니다.
    3. 암벽면의 물기/누수: 바위틈새에서 물이 새어 나오거나, 젖어 있는 흔적이 보인다면 틈새로 스며든 물이 암석의 결합력을 약화시키고 있다는 징후입니다. 특히 해빙기에는 얼었던 물이 녹으면서 바위 사이의 틈을 넓혀 낙석 위험이 커집니다.
    4. 이상한 소리: 바위가 부딪히는 듯한 소리나, 흙이 쓸려 내려가는 듯한 소리가 들린다면 주의해야 합니다.
    5. 울타리나 시설물의 변형: 낙석 방지용 울타리나 도로변 시설물이 휘어지거나 파손된 흔적이 있다면, 이전에 낙석이 있었거나 위험 징후가 있다는 뜻입니다.

     

     

     

     

    징조 발견 시 행동 요령

     

    산사태나 낙석의 징조를 발견했다면 즉시 행동해야 합니다.

    • 절대 지체하지 마세요! 징조 발견 후 실제 산사태가 발생하기까지의 시간은 매우 짧을 수 있습니다.
    • 안전한 곳으로 대피: 산사태 발생 방향과 멀어지는 방향의 가장 가까운 높은 지대로 신속하게 대피하세요. 계곡이나 강가, 비탈면 아래는 매우 위험합니다.
    • 신고: 안전한 곳으로 대피한 후에는 즉시 119 또는 산림청(산사태 정보시스템)이나 지자체 재난 담당 부서에 신고하여 상황을 알리세요.
    • 주변에 알리기: 주변 사람들에게도 위험을 알려 함께 대피하도록 유도하세요.
    • 가스/전기 차단: 대피 시에는 2차 피해 예방을 위해 집 안의 가스와 전기를 차단하는 것이 좋습니다.

    폭우 뒤에는 잠재된 위험이 많습니다. 특히 산사태나 낙석은 예고 없이 찾아올 수 있으므로, 위에서 설명드린 징조들을 숙지하고 항상 주변 상황을 살피는 습관을 가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혹시라도 위험 징후를 발견하셨다면, 망설이지 말고 즉시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고 신고해 주세요.